블록체인 플랫폼과 전용 게임들이 등장함에 따라 게임사와 업체들의 관심도 조금씩 커지고 있다.

넷마블, 위메이드, 펍지주식회사, 펄어비스, 네오위즈의 투자 계열사 네오플라이 등의 게임사가 카카오의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Klaytn)과 협업 중이다. 아직 초기 단계지만 주요 게임사들이 블록체인 게임의 가능성에 투자하고 관심을 가지는 모습이다.

다만 상용화 단계가 아니다 보니 가능성 보다 블록체인 기반 게임이 해결해야 할 숙제가 크게 부각되는 현실이다.

시급한 부분은 도박성과 사행성이다. 현재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가장 인기 있는 댑(Dapp,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은 도박이다. 특히, 이오스(EOS)와 트론에서 인기를 얻고 있으며, 댑닷컴을 비롯한 각종 통계 사이트에서 강한 도박 요소를 포함한 댑이 상위권이다.

문제는 거래수단이 암호화폐란 것이다. 블록체인 기반 게임의 경우, 자산 소유권이 게임사가 아닌 유저에게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아이템 거래가 허용된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암호화폐를 정식화폐로 인정하지 않지만, 암호화폐는 거래소에서 정식화폐로 교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현금을 활용한 도박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도박 요소를 지닌 댑이 인기인 것은 기술적인 문제와 연관이 있다. 퍼블릭 블록체인은 초당거래량(TPS, Transaction Per Second)으로 인해, 현재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고사양 게임의 구동은 쉽지 않다.

즉, 현재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대규모로 발생하는 게임 거래를 소화하기 힘든 부분이 존재하며, 플랫폼 댑의 수가 늘어날수록 문제는 커질 가능성이 있다. 결과적으로 플랫폼의 기술적 문제로 고사양 게임의 개발이 어려운 만큼, 단순하지만 도박성과 사행성을 바탕으로 유저를 모을 수 있는 댑이 인기인 것이다.

결국 기술적 문제이기에 기존 온라인과 모바일게임 시장이 그러했듯이 시간이 해결해줄 가능성이 있다. 또한 도박성과 사행성과 관련해 모바일게임의 고포류게임처럼 규제 내에서 서비스가 이뤄진다면,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블록체인 기반 게임의 기준도 필요하다. 아직 국내에서 게임의 암호화폐 활용이 불법화되고 있지만 해외에서 이더리움과 이오스 기반의 암호화폐 보상형 게임이 잇따라 출시되고 있는 만큼, 태동하는 시장의 주도권을 해외로 넘겨줄 수 있다.

지난 7월 게임물관리위원회에서 블록체인 기반 게임 기준안 마련을 위한 정부 차원의 현황조사 및 연구를 진행 중인 만큼, 올해 안에 기준안의 초안이나 기초가 만들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접근성 역시, 해결해야 할 숙제다.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을 즐기려면 계정 생성은 물론, 지갑 설치, 개인키 관리 등 기반 지식이 없는 유저들이 접근하기에 복잡하고 까다로운 절차가 있다.

해외의 가장 인기 있는 블록체인 게임들조차 일간활성유저(DAU, Daily Active Users)가 약 2,000명 수준이다.

상대적으로 인프라가 확보되어 있는 온라인과 모바일게임도 가입 절차가 까다로울 경우, 초반 이탈이 많이 발생하기에 간소화 작업이 필요해 보인다.

이처럼 블록체인 기반 게임이 해결해야 할 문제가 산더미이며, 비판적인 시각이 우세한 상황이다. 하지만 본격적으로 게임이 활성화되기 시작한 지 약 2년이 채 되지 않았기 때문에 아직 평가하기 성급한 감이 있다.

무엇보다 게임의 확장성을 비롯해 자산의 소유권, 아이템의 손실이 없는 등 기존 게임과 완전히 다른 영역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만큼, 향후 블록체인 기반 게임이 어떤 방향으로 진보하게 될지 관심을 가지고 지켜볼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게임인사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