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홀더들의 눈치싸움이 이어지고 있다. 수수료는 콘텐츠를 잡기 위한 최대 무기다.

디지털 판매가 주류로 떠오르면서, 플랫폼은 유통 권력을 쥐었다. 게임은 다른 업계보다 조금 더 빨랐다. 스마트폰 게임 등장과 함께 애플 앱스토어와 구글플레이가 양대산맥을 구축했다. 같은 시기, PC 플랫폼에서는 스팀이 일찌감치 앞서나갔다. 

'7:3' 수수료는 오랜 관행이었다. 구글과 애플은 자사 스토어 게임들의 인앱결제에서, 스팀은 입점 게임들의 매출에서 30%를 가져갔다. 초창기 큰 불만은 나오지 않았다. 그러나 경쟁 플랫폼이 속속 등장하면서 수수료 논쟁이 수면 위로 올라오기 시작했다.

조금씩 다른, 그러나 효력 의심되는 '15%'

논란이 거세지자, 구글과 애플은 모두 수수료를 15%로 인하하는 대신 조건부 30%를 적용하겠다고 나섰다. 단 세부 조건은 양사가 조금씩 다르다.

애플 앱스토어는 올해 1월부터 중소 개발사 지원 프로그램을 가동했다. 스토어 연간 수익이 100만달러(11억 3천만 원) 이하인 개발사는 15% 수수료만 지불한다. 단 100만달러를 초과한 개발사는 모든 수익금에 30% 수수료가 적용된다.

구글 플레이스토어의 경우, 전체 수익금이 얼마든 100만달러까지 수수료는 15%다. 그리고 초과된 매출분에 한해 30%를 적용한다. 예컨대 110만달러 매출을 올린 개발사는 10만달러에만 30% 수수료가 붙는 것. 7월부터 적용 예정이다.  

구글이 애플에 비해 인하폭이 조금 더 크지만, 양쪽 모두 게임 등 앱 사업자들의 반응은 냉랭하다. 인앱결제 강제 문제는 대응이 없고 인하 금액 역시 큰 의미가 없기 때문. 한 관계자는 "구글의 수수료 수익은 대형 개발사에서 95%가 나온다"면서 "사실상 양보 없는 구색맞추기 대응에 가깝다"고 언급했다.

30%→12%... PC게임 수수료 격변 오나?

모바일에 비해 PC게임 분야는 수수료 경쟁이 공격적으로 전개된다. 스팀의 아성을 노리는 플랫폼 홀더들의 투자가 이어지며 나온 결과다.
 
에픽스토어는 2018년 12월 오픈하면서 수수료 12%를 제시했다. 게임 스토어를 통틀어 가장 낮은 수준이다. 외부결제 역시 허용하는 동시에, 입점 게임들의 언리얼엔진 사용 수수료도 면제했다. 게임사들에게 매력적인 조건이다.

올해 들어 마이크로소프트 역시 수수료 인하 기조에 동참했다. 8월부터 윈도우 스토어에 입점한 모든 PC게임의 수수료를 12%로 낮춘 것. MS는 "우수한 게임 콘텐츠를 제공하는 일에 핵심 역할을 하는 것은 개발자들"이라며 인하 취지를 설명했다.

요지부동 '스팀', 경쟁 참여할까?

PC게임에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스팀의 대응에 시선이 몰린다. 2018년 매출이 높을수록 최대 20%까지 수수료를 낮추는 정책을 내놓았지만, 혜택 대상은 전체 입점 게임 중 극소수에 불과하다. 

1천만달러 이하 수익을 거둔 게임의 스팀 수수료는 여전히 30%다. 20%를 적용받기 위해서는 매출 5천만달러를 넘어야 한다. 특히 인디게임은 광범위한 노출이 중요해 스팀에 의존하는 현상이 심화됐는데, 오히려 가장 부담을 받고 있다는 개발자들의 지적도 잇따랐다. 

밸브가 비상장을 고집하고 있어 정확한 실적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이코노미스트는 2017년 기준 밸브 연간매출이 43억달러(4조 9천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추산했다. 대부분이 스팀에서 발생하는 매출이다. 매년 급증한 스팀 이용자 수를 고려할 때 현재 수수료 수익은 더욱 높을 가능성이 크다.

수수료 경쟁은 플랫폼 독점 약화에서 나왔다. 경쟁 플랫폼이 등장하고 수수료를 대폭 낮추자, 개발사는 더욱 싼 가격에 상품을 제공하면서도 높은 수익을 거둘 수 있게 됐다.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 효율적인 비용을 두고 저울질을 시작하고 있다.

저작권자 © 게임인사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