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주 교수가 게임에 NFT 적용을 위한 필수 요소를 공개했다.

고려대학교 김승주 교수는 10일 NDC 2022에서 ‘NFT, 게임의 혁명인가 신기루인가?’를 주제로 NFT 사업이 성공하기 위해 신경 쓸 부분에 대해 조언했다.

P2E 게임은 여러 부침에 맞서는 중이며 구체적인 성공 사례가 부족한 상황이다. 김승주 교수는 “게임뿐 아니라 모든 업계에서 NFT의 이해가 부족한 실정”이라며 성공을 위해 준비해야 할 부분을 짚어냈다.

NFT 사업에 뛰어든 회사들은 기본적인 요소를 놓친다. 꼭 필요한 요소는 상징성, 팬덤, 부가 서비스 제공, 세계관 확장, 프로슈머 생태계의 5가지이며 모든 요소가 연계된 것이 특징이다.

P2E 게임의 첫 시작은 액시엄젠의 크립토키티다. 고양이 캐릭터를 육성하고 번식시켜 다시 암호화폐로 판매하는 방식인데 재미와 매력을 떠나 크립토키티는 NFT 표준을 최초로 적용했다는 점에서 역사성을 가진다. 콘텐츠에 힘이 생기고 상징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NFT 사업이 성공하려면 거대한 팬덤은 필수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인기 웹툰 ‘나 혼자만 레벨업’ NFT를 최초 발행했을 때 1분 만에 완판을 기록한 것처럼 NFT를 구매하려는 팬덤이 완성되어 있어야 사업을 시작할 수 있다.

팬덤이 구축되었다면 지속성을 가져야 한다. NFT가 단순히 등기 권리증 역할에 머물면 팬덤이 와해할 수 있다. 일반적인 비즈니스 모델 구축 방식은 원본 콘텐츠의 NFT를 판매하고 부가 기능을 추가한다.

자유로운 세계관 확장도 필요하다. 메타버스 전문가들은 미래에 거대 메타버스가 6개에서 7개 정도 남을 것이며 최종 형태는 모든 메타버스를 한 개의 아바타로 이동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NFT는 단일 서버를 벗어나 기록을 저장하기 때문에 메타버스에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NFT를 이용해 프로슈머 생태계를 더 공고히 만들어야 한다. 대표적인 프로슈머 생태계는 로블록스와 유튜브로 요약된다. 싸이월드와 로블록스는 같은 메타버스지만 큰 차이를 갖고 있다. 과거 싸이월드의 유저는 단순한 소비자로 아이템, 배경 음악을 계속 구매하는 방식이었다.

현대의 메타버스 로블록스는 회사가 스튜디오를 제공한다. 컴퓨터를 잘 모르는 사람도 얼마든지 게임을 만들 수 있으며 홈페이지에 올려 수익을 분배받는 구조다. 프로슈머 생태계를 유지하려면 가짜를 구별하는 능력이 중요한데 NFT가 요구를 채워줄 수 있다.

모든 사람이 자유롭게 자신의 콘텐츠를 만들고 NFT를 붙여 거래하면 웹3.0 시대로 입성할 수 있다. 웹2.0 시대인 현재는 유저의 정보로 플랫폼 기업이 돈을 버는 구조다. 웹3.0 시대는 자신의 정보에 NFT를 이용해 꼬리표를 붙이고 정당한 대가를 지불받는다.

고려대학교 김승주 교수는 “블록체인 기술은 거품이 많이 껴 있지만 개발자의 시선에서 보면 최고급 이론이 발 빠르게 적용되고 있다”며 “쏟아지는 이론을 어떻게 게임에 적용하고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지 고민하면 화려한 꽃을 피워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이야기했다.

저작권자 © 게임인사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